앞으로 이 카테고리는 네이버 백과사전을 기본으로 해서 가지를 뻗는형식(빨간글씨 추가)으로 글을 작성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사진들은 시작편에서 이야기했듯 출근길 산책로에서 직접찍은 남천나무사진들 ..ㅎㅎ
정의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관목(常綠灌木).
=> 매자나무과 중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식물은 깽깽이풀, 한계령풀, 남천, 매발톱나무, 삼지구엽초, 꿩의다리아재비, 세잎풀, 홍매자나무 대략 이정도가 있는것 같다. 남천나무는 그중에 하나구나.
상록관목이란말은 상록수라는 말이겠구나. 어쩐지 겨울에 보아도 잎이 떨어지지 않고 달려있었다. 대신 날씨가 추워지면 단풍잎이 든것처럼 빨간잎이 많이 보이는것 같다. (찾아보니 겨울이되면 잎속에 당분이 높아지면서 빨개지는것이고 이듬해 3월경이 되면 잎이 세대교체를 하면서 지게된다고 한다.) 상록수이면서 단풍이 드는 나무가 많지않아서 관상목적으로 여러곳에서 심는것 같다. 우리아파트에 있는것도 남천인가보다.
내용
학명은 Nandina domestica thunb이다.
=>툰베리가 붙인 학명 중 속명 난디나 Nandina는 남천의 일본 발음이며, 난덴nanden에서 유래했다. 학명 중 종소명 도메스티카domestica는 ‘국내의’라는 뜻이다. 툰베르크가 남천의 학명에 일본 발음을 표기한 것은 그가 일본에서 활동했기 때문이다.
툰베리라는 사람이 명명해서 학명에 thunb가 붙는거인가보다. (이부분을 전문용어로 명명자 라고 한다고 한다.). 학명에 대해서도 알아두면 재미있는게 많이있을것 같다. 그때그때 알아봐야지.
높이는 3m나 자란다. 잎은 가죽질이며 3회 우상복엽(羽狀複葉)으로 잎줄기에 마디가 있고 길이 30∼50㎝이다. 작은 잎은 자루가 없으며 타원상 피침형이고, 길이 3∼10㎝로서 양끝이 점차로 뾰족해진다.
=>우상복엽이라는게 아래 그림과 같은 형태라고 한다. 가죽질이라고 하는표현은 가죽과 같은 재질로 잎이 두꺼운편이고, 영어로는 coriaceous라고 한다. 잎의 표면 질감을 이야기할때 아래 그림과같은 분류가 되나보다.
잎자루는 흔히 검은 적색으로 줄기를 둘러싼다. 꽃은 흰색의 양성화(兩性花)로서 6∼7월에 피며, 가지 끝의 원추화서(圓錐花序)에 달린다. 과실은 장과(漿果)로서 구형이며 10월에 붉게 익는다.
=>여름에 흰색꽃이피고 가을에 붉은열매를 맺는구나. 붉은 열매는 크기에 비해 과육이 되게 부족한편이라서 새들이 별로 안좋아한다고 한다.
과실에는 알칼로이드 성분이 있으며 천식(喘息)이나 백일해(百日咳) 등에 진해제(鎭咳劑)로 사용되며, 민간에서는 잎을 강장제로 사용한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잎이 미려하고 꽃과 단풍과 열매도 일품이므로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우리나라의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에 심고 있으며, 북부에서는 온실에서 많이 기른다.
=> 우리나라에 남천의 진해성분을 이용한 약이 있는지 검색해보았는데 브롬콜액이라는 기침감기약에 남천실 추출물이 함유되어있는것을 찾아볼 수 있었다. 여기서 남천실이라고 하는것은 잘익은 남천나무 열매를 지칭하는 말이라고 한다.
남천실의 알칼로이드 유효성분은 domestine(nantenine)이다. 약대출신이다 보니 이런 약물학적인 정보도 눈에 들어오는구만.. 알아서 나쁠건없지뭐.. 흠흠
관련논문을 좀 찾아보니
남천 추출물이 폐의 세포에 염증상태를 억제해준다는 내용의 논문
남천 추출물이 기관지이완(교감신경 베타2 수용체에 작용)에 도움을 준다는 내용의 논문. 이 논문에서 얘기하기로는 기존에 잘알려진 nantenine이라는 성분이 아니라 남천에 들어있는 higenamine이라는 성분이 기관지이완에 도움을 준다는 내용이다.
두 논문 저자 모두 일본인인것을 보면 예로부터 남천나무를 일본내에서 경험적으로 약용으로 사용하던것을 연구를 통해 과학적으로 입증하려하는 시도라고 볼수 있겠다.
어쩌다 보니 포스팅이 되게 심오해졌는데 결론은 남천나무는 사시사철 아주 이쁘고 기침에도 도움이되는 아주 좋은 나무라는것이다.
포스팅을 읽고 남천나무를 한번 길러보고싶은 마음이 생겼다면 아래링크를 통해 구매해보도록 하자.
해당 링크를 통한 구매는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내삶을 풍요롭게 해보자 > 길가에 피는 꽃이름 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일가는 산책로에 피는 나무들 꽃들을 알아보자 -시작편- (0) | 2021.01.07 |
---|---|
꽃이름 공부. 카틀레야 (0) | 2020.11.23 |